Service
home
WOW Onboarding
home
⚛️

프론트 회의 1차

월요일 자정에 만나서 회의할 예정 (월요일 밤에서 화요일 오전 사이)
안건
상태관리 라이브러리 선정
TODO 정리
커피챗 질문 리스트 작성
회의 끝나면 할 일 (7/24 수요일 3시 회의)
dadsadsadasd.vercel.app
develop 브랜치) adasdasdasdasddev.vercel.app
이슈, 칸반 보드 정리
본 개발

현재 레포지토리 현황 얘기

커밋하면 어뜨케 되는 지 보여주기
커밋 컨벤션을 안지키면?
린트를 틀리면?
→ 이런 제약을 통해서. 코드의 일정한 품질. 커밋이 일정하기때문에 읽기 편함
왜 이렇게 됐는지 코드를 보여주기
package.json 보여주기
필요한 라이브러리 : 리액트쿼리 데브툴, dotenv, 상태관리 라이브러리

상태관리 라이브러리 (클라이언트)

(까먹고 레포에 리액트 쿼리 개발자 도구(React Query Devtools)를 안받아놓음)
→ 상태관리 라이브러리가 뭐지?
→ 상태가 뭘까? (state) useState → 함수형 컴포넌트와 클래스형 컴포넌트의 차이
state와 props를 쓰다보니
context → 이거 쓰기좀 불편함
안쓰자니 props drilling이 좀 빡셈

Trend

Atom vs Flux
atom : Recoil, Jotai (쉬운길엔 책임이 따른다) → 머거유 프로젝트는 큰 책임과 감당못할 일이 생길정도의 볼륨을 갖지 않음.
Flux : Zustand (좀 번거롭지만 걸어간다)
대충 위 3가지 라이브러리에서 선정하기. 왜냐면! 요즘 주로 쓰이는 아이들임 (유명하고 안어려운 아이들)
주스탄드 위주의 비교 아티클 → link iconZustand DocumentationZustand Documentation
프롭스 드릴링을 겪어보지 못한 상태 → 진짜 해보고 안되겠다 싶을때 찾아오기

fetch → axios 라이브러리

이건 백엔드 api가 하나라도 완성되면 진행 예정

TODO 작성하기

1단계의 투두를 만들고. 이슈탭으로 넘어간다.
피그마와 함께 보며 이야기 해봅시다.
1단계. MVP ver.0 (내 목록) → 7/31까지 목표로 하는 중
2단계. MVP ver.1 (친구 추가) → 7/31까지 거의 다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중

커피챗 질문 리스트 작성

작성 알림

이 시점부터 이제 진짜 개발 시작

→ 확실하게 갑시다. 이제 진짜 코드작업해야함;